top of page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1심재판 유죄선고 [육하원칙, 해석, 그리고 정보복지]

2024.11.18.월 | 박광순 선임기자



육하원칙

누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

언제: 2024년 11월 15일 금

어디서: 대한민국 서울중앙지법

무엇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혐의기소 1심재판 유죄 선고 어떻게: 징역 1년 집행 유예 2년

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 “(이재명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유권자가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하도록 하여 민의를 왜곡”


해석

좌파

좌파ㆍ우파 공통

우파

정치인의 말과 행동을 이처럼 사법부로 가져가 단죄하는 정치의 사법화에 대해 유감을 표해

대법원에서 금고 이상 형이나 100만원 이상 벌금형이 확정되면, 이재명 대표는 의원직을 상실하고 대선 출마도 불가능해져

오직 법리와 증거로만 판단한다는 원칙에 따라 선고한 점을 평가해

정치의 사법화는 우리 정치의 후진적이고 불행한 단면

대법원에서 금고 이상 형이나 100만원 이상 벌금형이 확정되면, 민주당 또한 지난 대선 때 선관위에서 보전받은 선거비용 434억원을 반납해야

선거 과정에서 거짓말하면 절대 공직자가 될 수 없고 엄벌을 받는다는 법의 원칙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판결의 의미가 상당해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이 편파적으로 남용되어 공정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국민적인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이 재판 결과를 수긍하지 못하는 건 당연할 수 있어

예상보다 무거운 법원의 판결은 그간 선거 민심을 왜곡할 수 있는 허위사실 공표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온 판례와 정신을 감안한 것으로 보여

법원은 6개월 안에 끝났어야 할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재판 1심이 2년 2개월 만에야 매듭지어진 점을 반성해야

더불어민주당은 정치적 논쟁보다는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고 2ㆍ3심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해

제1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현실화돼

법원은 이재명 대표의 2심을 법대로 석달 안에 결론내기 바라

여당은 판결을 김건희 여사 의혹을 오도하는 정치적 기회로 삼으려 해선 안돼

더불어민주당은 국회를 책임진 제1당으로서 해야 할 역할과 이재명 대표 리스크를 분리해야

법원은 선거법 위반과 위증 교사 사건에 대해 최대한 신속하게 후속 재판 절차를 진행하여 정치적 혼란과 국민 분열을 막아야

여당은 야당의 사법리스크를 여권의 정치적 위기를 모면하는 기회로 여겨선 안 돼

더불어민주당은 법원 판결을 정치 탄압으로 몰아 또다시 장외 투쟁으로 가선 안 될 일

더불어민주당은 그동안 국회 다수 의석을 앞세워 온갖 방식으로 검찰 수사를 방해하고 법원을 겁박해 와

여당은 권력 앞에서 굽지 않으며 오히려 더 철저한 책임을 물은 판결의 의미를 제대로 직시하고 민심에 부응할 길을 모색해야

이재명 대표는 항소할 뜻을 밝혔는데 법치국가에서 당연한 권리

더불어민주당은 무죄를 확신한다면서 많은 돈과 인력을 동원해 집회를 연다는 것 자체가 모순

여야 정치권은 전체로서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해야 마땅해

더불어민주당은 이 대표 말대로 2·3심에서 법리와 증거에 따라 논리적으로 무죄를 증명하는데 힘을 모으길 바라

더불어민주당의 방탄 행태는 민주당이 원하는 대로 이재명 대표의 판결을 이끌어내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해

정부ㆍ여당이 국민 신뢰를 잃은 상황에서 제1야당까지 리더십 위기에 처하게 돼 국민들의 걱정이 커

이제 이재명 대표가 받고 있는 4개의 재판 가운데 처음으로 1심 판결이 나온 것인 만큼 과도한 해석과 반응은 자중할 필요가 있어


여야는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확정판결까지 기다리면서, 우리 정치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꿀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여야는 비상한 위기의식을 갖고 민심을 다독이며 국정 안정을 도모해야



여야는 1심 판결을 논쟁거리로 만들어 갈등과 분열을 증폭시키는 선택을 하지 않기를 바라



Copyright © 대한복지문화신문 2024

7가지 푸른 물결은 대한복지문화신문의 상징입니다

명칭ㆍ제호: 대한복지문화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52294
등록일: 2017.04.17
발행일: 2019.11.19
발행소: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37
전화번호: 02-3473-5607
전자우편: desk@koreawftimes.co.kr
발행인: 박광순
편집인: 유명순
청소년보호책임자: 최유진

bottom of page